장기적 면역 프로그래밍 및 염증성 질환에서 발달기 글루코코티코이드의 역할 규명 (2022년~2027년)
최종 수정일: 2022년 8월 20일
최종 수정일: 2022년 8월 20일
장기적 면역 프로그래밍 및 염증성 질환에서 발달기 글루코코티코이드의 역할 규명 (2022년~2027년)
The fist joint summer workshop between Hong lab and Shin lab has finished successfully.
최종 수정일: 2021년 9월 18일
과학자에게는 자신이 마음속으로 생각한 것과
자연계에서 일어나는 일이 정확히 일치함을 체험하는 것이야말로
다른 어떤 것과도 비교할 수 없는 최고의 경험이다.
그런 일이 일어날 때마다 깜짝 놀라게 된다.
사람들은 마음속으로 생각한 것이 진짜 외부 세계에서
실제로 실현될 수 있음을 보고 놀라워한다.
거대한 충격이자 아주 큰 기쁨인 것이다.
-레오 카다노프-
실험을 흔히 타율에 비유하기도 한다. 평균 타율이 0.25-0.3 정도라고 하는 데 10번 나오면 2-3번 정도 출루하게 되는 것이다. 실험에 있어서 10번 실험해서 2-3번 가설과 맞는 실험결과가 나온다면 사실 뛰어난 연구자에 들어간다고도 할 수 있다. 새롭고 모험적인 연구일수록 성공 가능성은 더욱 떨어진다. 10번 실험해서 가설과 일치하는 결과를 1번 정도 얻게되면 감사한 일인 경우도 많다. 주로 가장 큰 개념적 실험의 성공 가능성이 일반적으로 가장 낮지만, 이 단계에서 성공한다고 해서, 그 다음 세부적인 실험에서도 계속해서 홈런을 치는 일은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연구가 어려운 이유가 여기에 있다. ‘판도라의 상자’ 가 호기심에 의해서 열렸다는 이야기가 있을 만큼, ‘호기심’은 사람이 갖고 있는 근본적 욕구일 수 있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과학적 질문에 대해서 호기심을 가질 수 있다. 아직 편견이 없는 어린 아이들의 경우 이를 더 보여주는 데, 아이들에게 간단한 실험을 보여주면 대부분이 신기해하고 관심을 갖는 것을 보게 된다. 그런데, 이런 지적 호기심 만으로는 수 년의 시간이 걸리는 연구를 끌고 가기는 대단히 어렵다.
가설과 맞지 않는 실험 결과를 받아들이고 이를 더 고민하는 과정을 통해 다시 새로운 가설을 만들고 실험하는.. 인고의 시간을 견디기 위해서는, 먼저 이런 과정이 있을 것을 예상하고 준비하는 것이 먼저 필요하다. 실패의 가능성을 전혀 생각하지 않았던 사람은 쉽게 실망하고 좌절하여 포기하기 쉽다.
그러나 이런 마음의 준비를 했다 하더라도 실패가 반복되면 지치기 마련이다. 이때는 잠시 브레이크를 갖는 것도 한 방법이 될 수 있을것이다. 잠시 전환의 시간을 지나고 문제에 돌아오면, 질문 자체가 잘못된 것인지, 방법이 잘못된 것인지 보이기도 한다. 사실 많은 중요한 과학적 발견들이 가설과 맞지 않는 결과로부터 시작된 경우도 정말 많았다. 전환의 시간 이후, 편견 없이 문제를 바라볼 때, 다른 가설을 세워볼 수도 있고 기존 지식위에 세워지지 않은 이런 새로운 관점을 통해 엄청난 발견을 하게 될 수도 있다.
또 이런 때는 작은 성취를 경험하는 것도 한 돌파구가 될 수 있다. 실패가 반복되면 자신의 연구 역량에 대해 의심이 찾아오기도 하며, 연구가 안되는 것보다도 자괴감 때문에 더 힘들기도 하다. 이 때, 자신이 할 수 있는 작은 성취들을 경험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청소를 한다든지 목욕재계하고 기본 실험을 한다든지 하는 종류의 일들 일 것이다.
그러나 궁극적으로, 버텨야 한다. 우리 사회는 여타의 나라에 비해서 더욱 ‘빠른 성취’에 대해 높은 가치를 두는 문화를 갖고 있어 이것이 더 쉽지 않아 보인다. 많은 대학원생, 포스닥들이 주변의 동년배를 보며 자신의 선택에 대한 회의를 갖게 되는 것에는 이런 문화도 한 몫을 하고 있다. 버텨야 하는 이유는 성취를 맛보기 위해서이다. ‘카오스’라는 책의 레오 카다노프 물리학자의 말을 인용한 부분이 매우 인상적이었다.
“ 과학자에게는 자신이 마음속으로 생각한 것과 자연계에서 일어나는 일이 정확히 일치함을 체험하는 것이야말로 다른 어떤 것과도 비교할 수 없는 최고의 경험이다.”
결국 인고의 시간을 보상해주는 것은 바로 이 경험이다. 학위와 논문이라고 하는 성과보다도 결국 자신의 가설이 맞았다는 경험, 자신의 연구로 생명현상의 원리를 규명할 수 있었다는 그 경험이 가장 큰 보상이다. 일단 한 번 이 경험을 하게 되면, 두 번째부터는 더 견딜 힘이 생긴다.
연구의 과정이 쉽지는 않지만, 연구가 성공하게 되었을 때 그 성과는 개인을 넘어서 많은 파급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랜 실패와 외면 끝에 mRNA 백신을 개발한 연구자들의 성공은 개인의 성공을 넘어서 문자 그대로 전세계를 구하게 되었다. 너무 빠른 성공, 빠른 성취에만 높은 가치를 부여하는 우리나라의 문화적 풍토가 실패의 과정과 오랜 인고의 시간을 요하는 기초과학과는 맞지 않다고 생각을 했던 적이 있었다. 그리고 노벨상이 나오지 않는 다면, 바로 그 이유 때문이라고 생각했던 적이 있다. 그러나 10년 동안 아주 조금은 사회적으로도 변하게 된 것을 본다. R&D의 가치를 인정하고, 단기간의 성과를 요구하지 않는 등, 기초과학의 성격을 이해하고 이에 맞는 투자를 하기 시작한 것 같다. 이런 정책속에서 사회의 전반적인 문화도 바뀌어 연구의 길에 들어선 학생들 연구원들이 자부심을 갖고 연구하게 되는 날이 올 수 있게 되기를 바래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