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전체 게시물

  • 작성자 사진: Jun Young Hong
    Jun Young Hong
  • 2022년 8월 26일

ree

우리 연구실의 핵심 가치 중 가장 첫 번째가 ‘지속적 성장’이다. 끊임없이 배우고 학습하는 것을 제일의 가치로 여기고 이를 추구하겠다는 것이다. 그래서 랩의 운영을 처음 시작했을 때는 ‘지속적 학습’이라고 이름을 붙였다. 그러면서 막연히 생각하기로, 이러한 가치를 추구하는 모습은 아마도 끊임없이 질문하는 태도와 논문을 많이 읽는 모습 혹은 새로운 방법론에 대해 적극적 습득하는 모습으로 나타나지 않을까 생각을 했다.


그런데 ‘학습’에는 무엇인가가 빠져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고 그 때 ‘성장’이라는 단어가 떠올랐다. 그리고 학습과 성장의 차이에 대해 생각하면서 이 둘은 적어도 한 가지에 있어서는 다르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그것은 곧 통증이다. 성장에는 성장통이 있지만, 학습에는 학습통이 없다. 물론 교과서 내용을 공부하고, 논문을 보며 새로운 방법론을 배우는 것도 상당한 노동과 에너지가 들어가는 일이기 때문에, 수고와 노력이 따른다. 그러나 여기에는 ‘나’라는 존재가 직접 관여되어 있지는 않다. 즉, 어떤 논문을 비판을 하더라도 그 논문을 쓴 주체도 내가 아니고, 방법론의 한계를 생각하더라도 그것을 만든 사람이 내가 아니기 때문에, 이러한 학습과정에는 고통이 별로 없다. 그러나 성장은 다르다. 성장은 내가 변화되는 것이다. 지금의 나로 만족하지 않는 것이다. 나의 생각, 나의 태도, 나의 습관 등 현재의 나의 상태에 대해 만족하면서 성장할 수는 없다. 그렇기에 나에 대해 비판적으로 봐야하고, 내 생각을 바꿔야 할 수도 있고, 태도를 바꿔야 할 수도 있고, 습관을 바꿔야 할 수도 있다. 이 과정은 고통스러우며 통증이 있게 마련이다.


연구에 있어서는 학습의 부분도 있고 성장의 부분도 있는 것 같다. 어떻게 보면 학부생까지의 과정은 학습의 부분이 많을 것이다. 그러나 연구자가 되기 위한 대학원의 과정부터는 성장의 과정이 있고, 성장통이 있다. 단지 연구 뿐만아니라 20대후반-30대초반의 나이에는 많은 성장통이 있게 마련이다. 그런데 그 과정을 거쳐야만 전문성을 가진 제대로 된 연구자가 될 수 있다.


나무도 자랄 때 시기에 따라 자라는 속도가 다른 것처럼, 성장에도 때가 있는 것 같다. 그런데 이렇게 성장할 수 있는 지점은 역설적으로 내가 성장이 아니라 오히려 후퇴를 하고 있는 것 같은 때이다. '실패는 성공의 어머니'라는 말이 너무 진부하여 그 의미가 오히려 희석되지만, 정말로 성장의 지점은 실패의 자리에서 멀리 떨어져 있지 않다. 우리 대부분은 자신을 너무나 사랑하기에 외부로부터 변화에 대한 강력한 신호가 오기전까지 자신에 대해 비판적으로 보지 않는다. 그런데, 실패의 경험을 통해서, 기존의 내가 해왔던 방식, 삶의 태도, 내 생각과 고집을 돌아보게 되고 비로소 변화를 생각하게 된다. 이 시간은 정말 고통스러운 시간이다. 하지만 그렇기에 가장 많이 클 수 있는 시간이기도 하다.


연구의 과정에서도 돌이켜보면, 가장 많이 배웠던 때는 실험이 잘 안될 때였다. 왜 될 것 같은 실험이 안되는 지 붙잡고 논문을 보고 고민을 하는 과정을 통해서, 그 부분에 대한 많은 지식을 갖게 되었고, 구체적으로 어떠한 조건에서 성공하며 실패하게 되는 지, 그리고 그 이유가 무엇인지 까지도 배우게 되었다. 삶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였다. 잘 될 것 같은 일들이 잘 안될 때, 이를 붙잡고 씨름하면서, 내가 고치고 바꿔야 할 생각과 방식과 태도가 보였다.


지속적 성장은 나에게도 해당되는 말이다. 나는 성장하고 있는 가? Safe zone을 벗어나서 도전하고, 고통을 감내하며 가지를 치고 도려내며 버릴 준비가 되어 있는 가? 또 다른 성장의 지점에서 질문하게 된다..

  • 작성자 사진: Jun Young Hong
    Jun Young Hong
  • 2022년 8월 20일

Yale University와의 공동연구를 통해, 스트레스 호르몬인 글루코코티코이드가 Natural IgE를 증가시키며 이에 따라 Allergen 특이적 앨러지 반응과 아나필락시스를 막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Journal of Experimental Medicine 에 게재 확정됨 (accepted).



ree


Stressful events can have long-term consequences on health and disease. The function of the body is greatly altered during stress on top of psychological and emotional changes. It is partly due to the increased secretion of the stress hormone, glucocorticoids, which has multiple effects on our body function. One of the major effects of stress hormone is to suppress immune function and spare energy for a more essential part of the body. Though these changes with glucocorticoids should have a beneficial value for the adaptation to the stressful environment, they can also generally decrease the quality of life and potentially promote disease development.

The production of glucocorticoids is tightly regulated. Our brain is the center for the proper regulation of glucocorticoids. Several parts of brain integrate internal and external information of our body for potential threats and induce the cascade of hormones for eventual glucocorticoid production upon stress. The brain also reacts to maintain the level of glucocorticoid low under normal circumstances. Some stressful events can have long-lasting effects by leaving a persistent change in the brain, affecting the regulation of glucocorticoids

Important regulating center in the brain for glucocorticoids is mainly developed early in life. Accumulated basic and clinical studies suggest that stressful events early in life may affect the development of important tissues including the central nervous system, resulting in long-term consequences on health and disease in later life. However, mechanistic understanding on this subject is largely lacking. In this context, we decided to test the role of early-life glucocorticoids on later-life disease development using the mice model. We treated the pregnant and lactating mothers with the stress hormone, which can mimic the maternal stress during pregnancy and lactation. After the treatment during perinatal periods, we waited for the offspring to grow and become adults and then tested for their multiple biological functions.

With the close assessment of these mice, we found that perinatal treatment of glucocorticoids leads to long-term changes in immunity. Particularly, we found the functional change in cytotoxic T cells. Cytotoxic T cells, as the name implies, are important immune cells that can kill the pathogen-infected cells. Some pathogens such as intracellular bacteria or viruses can conceal their identity within infected cells and proliferate. Cytotoxic T cells can identify and destroy it with its cytotoxic activity. Moreover, these cells can also recognize and kill tumor cells, which is the foundation of cancer immunotherapy conducted these days. We found that perinatal glucocorticoid exposure significantly decreases the function of these cytotoxic T cells. As a result, the mice exposed to stress hormones in early life become more susceptible to adulthood bacterial infection and showed impaired control of tumor growth.

Though glucocorticoids are induced with various stressors, this hormone is even produced basally without any stress. As medical conditions such as adrenal insufficiency or adrenal crisis show, the basal level of glucocorticoids has a very important function in many tissues. We found that perinatal exposure to the stress hormone significantly decreases the level of basal glucocorticoids in later life. This happens with the persistent change in neuronal development in the hippocampus, a control center for glucocorticoid production. We finally proved that having a consistently lower level of glucocorticoids was sufficient to elicit compromised cytotoxic T cell function.

Overall, we found that perinatal exposure to glucocorticoids has long-term consequences on health and disease utilizing the mouse model. Stress hormone exposure programmed the set point of a basal glucocorticoid to be low, resulting in compromised cytotoxic T cell function. This leads to adulthood susceptibility to tumors and bacterial infection. However, it is uncertain how exactly our work can be translated to humans because humans and mice have very different timelines for the development of multiple tissues. Nevertheless, we think our study adds to the evidence that maternal and early-life stress can have long-term consequences on health and disease by affecting important developmental procedures. Regarding the long-lasting stability of the changes made in early life, prevention would be the best strategy to avoid unwanted outcomes for long-term health. We hope our work may promote the research and discussion on the subject of characterizing perinatal risk factors and controlling maternal and perinatal stress.


​면역생리 발달프로그래밍 연구실

Department of Systems Biology

Yonsei University

  • Twitter Clean Grey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