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작성자 사진Jun Young Hong

흙 속의 진주 (I)

매년 가을이면 노벨상 발표가 있다. 매년 노벨상 시즌만 되면 어김없이 왜 우리나라의 과학자들은 노벨상을 수상하지 못하는지에 대해 아쉬워하는 기사가 나온다. 그 동안 많은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했던 일본과는 많이 다르기 때문에, 더욱 사람들은 아쉬워하고, 정부 차원에서의 많은 노력 기울이고 있다. 개인적으로는 연구 수준의 격차는 많이 메워지고 있는 것 같다. 그러나 ‘혁신'에 방점을 두는 구조나 문화는 아직 부족해 보인다.


우리나라의 장점은 어찌되었든 시행착오를 겪어 가면서 정반합으로 조금씩 발전을 한다는 것이다. 현재까지 정부 과제의 양상이 기존에 비해 긴호흡으로 할 수 있고, 과정중에 기다려주는 기초 연구비들이 있어 감사한 것 같다. 그래도 좀 더 혁신에 방점을 두기를 원한다면, 소수의 탑 연구자들에게 연구비를 몰아주는 것보다는-비록 눈에 잘 띄고 성과를 과시하기 어려울 지라도- 가장 아이디어가 많을 아직은 성장하고 있는 신진연구자나 연구원들에게 많은 지원이 있어야 할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것만큼 중요한 것은 공정한 시스템인 것 같다. 한국의 양궁이 세계적인 탑을 계속 유지할 수 있는 이유도, 또 역으로 국가 수준의 투자에도 불구하고 중국 축구가 계속 월드컵에 실패하는 이유도, 공정한 시스템의 유무에 있다. 양궁의 국가대표 선발은 공정함을 넘어서 매몰차지만, 과거의 기록보다도 그 시기의 가장 컨디션이 좋은 선수들이 선발될 수 있어, 세계적 경쟁력을 유지하게 된다고 한다. 중국 축구의 경우, 자국 리그의 연봉 인플레등과 맞물려 축구 선수가 하나의 안정적인 직업이 되면서, 자본의 논리가 들어가기 시작했고, 실력보다는 인맥과 돈이 우선되면서 경쟁력을 잃어버렸다고 한다. 중국의 수많은 인구 중에 분명히 축구를 훨씬 잘할 수 있는 신체조건을 가진 사람들이 많겠지만, 유소년 시기 부터 재력과 인맥이 뒷받침되지 않는 한 기회조차 얻을 수 없기 때문에 좋은 선수들이 성장하기 쉽지 않은 것이다.


투명하고 공정한 시스템이 갖추어지지 않으면, 아무리 흙속의 많은 진주들이 있다 한들, 발굴될 기회가 없다. 사실 노벨상 수준의 혁신을 원한다면, 이는 main stream (주류) 에 있지 않을 가능성이 많다. 그러나 이곳의 진주들은 여전히 흙이 묻어있는 채의 날것 상태라서 fancy하지는 않을 것이다. 그럼에도 잠재력만을 보고 투자하기 위해서는, 다른 요소들의 제약을 덜 받을 수 있는 투명하고 공정한 시스템이 뒷받침 되어야 할것이다.


그리고 그러한 길을 가는 과학자들에 대한 존중이 있어야 할것이다. 적어도 일본이 우리와 다른 점은 그것이다. 그들은 한 길을 꾸준히 걸어가는 것에 대해 자랑스러워할 수 있다. 일본에서 꾸준히 노벨상이 나오는 이유도 트렌드나 인기에 연연하지 않고 꾸준히 한 길을 걸어가는 연구자들이 있기 때문이다. 반면 우리나라는 사회적으로 격변을 겪으며, 고도 성장을 해왔던 나라이기 때문에, 끊임없이 새로울 것을 요구 한다. 물론 이것은 기회가 되기도 한다. 이전과는 다른 새로운 무엇인가를 계속 요구하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K-pop과 한국 드라마와 영화가 세계시장에서 우뚝 설 수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과학에 있어서는 새로운 연구 분야를 열어야 하는 것은 맞지만, 그와 동시에 깊이가 있어야 한다. 깊이가 없이 새로운 개념만 제시한다면 이론이 아니라 가설로만 남을 뿐이다. 그래서 한 방향으로 꾸준히 걸어가는 것이 또한 필요하다.


이러한 부분들이 여러 시행착오 이후에 균형을 잡고 잘 세워져 간다면, 한류가 세계를 선도하듯, 연구도 그렇게 될 날이 오게 될 것이라 생각한다.



조회수 68회댓글 0개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Comments


bottom of page